벤치마크 지수, 그거 진짜 뭐야?
안녕하세요. 미쿡스트릿맨입니다.
자, 이게 바로 벤치마크 지수입니다. 투자할 때 자기 성과 얼마나 잘하고 있나 보려면 쓰는 기준이 되는 지수거든요. 예를 들어, 내가 주식에 돈을 넣어놨다? 그럼 시장 평균보다 잘 하고 있는지 궁금하잖아요? 그럴 때 딱 쓰이는 게 벤치마크 지수라는 거죠. 아주 간단하게 자기 자산이 얼마나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는 친구 같은 존재랄까요? 뭐, 포트폴리오가 S&P 500보다 수익이 높다? 그럼 잘한 거지! 이렇게 말이죠.
□ 벤치마크 지수가 왜 필요하냐고?
○ 성과 평가하는 기준이 되니까
이게 진짜 유용해요. 무슨 소리냐면, 자산 운용사들이나 펀드 매니저들은 다들 투자 전략을 잘 짰는지 확인해야 하잖아요. 그럴 때 ‘S&P 500 지수보다 내가 투자한 게 잘했나, 못했나’를 비교하는 거죠. 그리고 개인 투자자들도 똑같아요. “내가 잘하고 있는 건가?” 이런 궁금증이 들 때 벤치마크가 있어야 평가를 공정하게 할 수 있는 거죠.
○ 포트폴리오 관리할 때도 필수!
운용사나 펀드 매니저들은 벤치마크 지수 보면서 더 나은 전략을 찾으려고 하거든요. 무조건 시장 평균보다 높게! 알파 수익을 노리는 거죠. 실패하면 쪽팔리는 거고, 성공하면 “나 좀 잘했지?” 이러면서 자랑하고. 이게 다 초과 수익을 내기 위한 전략입니다. 그러니 뭐, 포트폴리오 관리할 때 벤치마크는 없으면 안 돼요.
○ 시장 상황이랑도 관련이 있어요
시장 전반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벤치마크 보면 알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채권 시장을 보려면 Bloomberg Barclays U.S. Aggregate Bond Index 같은 거 보면 되죠. 시장이 시끌시끌해도 벤치마크 보면 좀 감이 오잖아요? 그러니까 아주 필수적인 존재입니다.
그런데 벤치마크 지수가 종류가 엄청 많대
□ 주식 벤치마크 지수
○ S&P 500 지수
이거 진짜 유명하죠. 미국 경제 대표하는 대형주 500개가 들어있어요. “미국이 이렇구나” 싶을 정도로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잘 보여줘요. 글로벌 투자자들도 무조건 보고요. 근데 이게 대형주 중심이라 대표성 갑!입니다. 아주 다양한 산업을 다루니까요.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와, 이거는 또 다릅니다. 미국의 아주 전통적인 지수죠. 30개 대형 우량 기업으로만 구성돼 있어요. 변동성은 좀 낮은 편인데, 산업 대표성은 부족할 수 있다? 뭐 그런 느낌입니다. 근데 워낙 오랫동안 봐왔던 지수라 신뢰도는 꽤 있어요.
○ MSCI World Index
글로벌 투자할 때 이거만 한 게 또 없어요. 선진국 시장 성과를 다 종합해서 보여주니까 진짜 편하거든요. “어디에 투자할까?” 싶을 때 딱 기준으로 삼으면 좋은 지수입니다.
□ 채권 벤치마크 지수
○ Bloomberg Barclays U.S. Aggregate Bond Index
이건 채권 시장 대표하는 지수입니다. 미국 정부 채권, 회사채, 모기지 채권 등 다 들어있어요. 그래서 안정적인 수익 자산군 평가할 때는 이게 최고죠. 채권 투자자들의 필수품 같은 존재라고 보면 됩니다.
○ J.P. Morgan Emerging Market Bond Index (EMBI)
신흥 시장 국채 투자할 때 봐야 하는 지수에요. 위험이 크긴 한데, 수익이 크니까 그런 거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느낌? 그런 거 좋아하는 투자자들 사이에 인기 많아요.
□ 혼합 자산 벤치마크 지수
○ 60/40 포트폴리오 지수
이건 아주 전통적인 전략입니다. 주식 60%에 채권 40%로 구성된 건데, 변동성 관리에 딱이죠. 안정성도 챙기면서 성과도 나쁘지 않은 전략이라 많이들 씁니다.
벤치마크 지수, 어떻게 골라야 할까?
투자 스타일에 맞게 고르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미국 대형주에 투자했다? 그럼 S&P 500이죠. 글로벌 투자? 그럼 MSCI World Index. 똑같은 자산군을 비교해야 공정하니까요. 적절한 선택이 곧 투자 성과를 좌우합니다.
그럼 여러분의 성공투자를 기원할께요.
자산 분류 | 벤치마크 지수 | 설명 |
---|---|---|
세계 증시 | MSCI World Index | 선진국 주식 시장을 대표하며, 전 세계 선진국의 성과를 종합한 지수. |
S&P 500 | 미국의 500개 대형주로 구성된 지수로, 미국 증시의 대표적인 벤치마크. |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 미국의 30대 대형 우량 기업을 포함한 전통적인 지수. | |
NASDAQ Composite | 기술주 중심의 미국 증시를 나타내며, IT 및 혁신 기업 성과 반영. | |
FTSE 100 Index | 영국 런던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위 100개 대형주로 구성된 지수. | |
Nikkei 225 | 일본의 225개 주요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로, 일본 경제를 대표. | |
DAX | 독일의 30개 대형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로, 유럽 경제에 중요한 역할. | |
CAC 40 | 프랑스 증시의 대표 지수로, 프랑스의 주요 40개 상장 기업 포함. | |
Shanghai Composite Index | 중국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포함한 지수. | |
Hang Seng Index | 홍콩 증시의 대표 지수로, 주요 대형 기업들을 포함. | |
채권 | Bloomberg Barclays U.S. Aggregate Bond Index | 미국 정부채, 회사채, 모기지 채권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채권 지수. |
J.P. Morgan Emerging Markets Bond Index (EMBI) | 신흥 시장 국채의 성과를 측정하며, 신흥국 경제 동향 반영. | |
FTSE World Government Bond Index (WGBI) | 세계 주요 국가의 정부 채권으로 구성된 글로벌 채권 지수. | |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 미국의 고수익 채권(정크본드)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수. | |
Bloomberg Global Aggregate Bond Index | 전 세계 다양한 채권을 포함한 글로벌 채권 시장 지수. | |
금리 | LIBOR | 과거 단기 대출 금리로 사용되던 기준 금리, 현재 SOFR로 대체 중. |
SOFR | 미국 달러화의 새로운 단기 대출 금리 기준으로 사용되는 금리. | |
Euribor | 유럽 연합의 단기 금리로, 유로화 사용 국가 간 금리 기준. | |
U.S. Treasury Yield Curve | 미국 국채의 만기별 수익률을 나타내며, 금리 환경 분석에 사용. | |
원자재 | Bloomberg Commodity Index (BCOM) | 주요 원자재 성과를 종합하는 지수로, 금, 석유, 곡물 등 포함. |
S&P GSCI | 에너지, 농산물, 금속 등 원자재 시장 성과를 반영하는 지수. | |
CRB Index | 전 세계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을 반영하며, 인플레이션 분석에 사용. | |
WTI Crude Oil |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 가격을 기준으로 한 원유 시장의 벤치마크. | |
Brent Crude Oil | 북해 브렌트유 가격을 기준으로, 글로벌 원유 시장의 기준 가격. | |
LBMA Gold Price | 런던 금 시장에서 설정되는 금 가격으로, 글로벌 금 시장의 기준. | |
부동산 및 기타 | FTSE EPRA/NAREIT Global Real Estate Index | 글로벌 부동산 투자 신탁(REIT)의 성과를 추적하는 지수. |
MSCI US REIT Index | 미국의 주요 부동산 투자 신탁(REIT) 성과를 측정하는 지수. | |
HFRI Fund Weighted Composite Index | 다양한 헤지 펀드의 성과를 추적하며, 헤지 펀드 투자 성과 비교에 사용. |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로 경제, 시황, 재테크, 주식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늘 행복하시고 또 놀러 와 주세요!
'해외증시 놀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 S&P500 지수도 주춤? (12) | 2024.11.20 |
---|---|
전략적 포트폴리오, 기대수익률 계산 전혀 어렵지 않죠! (1) | 2024.11.19 |
2025년에 어디에 투자를 해야할까? 중장기 투자전략 (11) | 2024.10.27 |
[경제읽기] 리먼브라더스 사태에서 코로나 이후의 경제까지 (11) | 2024.09.25 |
과거에서 배우는 금융상식(미국의 금융위기,테이퍼링, 코로나 시기) (8) | 2024.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