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드(Method), 향수병처럼 생긴 친환경 세제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품의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브랜드들이 각광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메소드(Method)는 독보적인 사례로 꼽힌다. 2000년에 설립된 메소드는 세련된 디자인, 친환경 성분, 그리고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단순한 세제를 넘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오늘은 메소드의 창립 배경부터 제품 개발 과정,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 그리고 글로벌 영향력까지 깊이 있는 시각으로 이 혁신적 기업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 메소드의 창립 배경: 깨끗함의 새로운 정의
○ 창립 이야기
메소드는 에릭 라이언(Eric Ryan)과 애덤 로리(Adam Lowry)라는 두 명의 친구에 의해 설립되었다. 에릭은 광고와 브랜딩 전문가였고, 애덤은 환경공학을 전공한 화학 엔지니어였다. 둘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세제가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동시에, 소비자들이 더 기분 좋게 사용할 수 있는 세제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들의 첫 제품은 기존의 강력한 화학 성분 대신, 무독성 천연 성분과 생분해가 가능한 포뮬러로 설계되었다. 동시에, 제품의 외관 디자인에도 심혈을 기울여, 주방 세제와 핸드워시조차 인테리어 소품처럼 보이도록 만들었다. 이처럼 환경 보호와 심미성을 동시에 강조한 접근은 당시 시장에서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았다.
□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
○ 크래들 투 크래들(C2C, Cradle to Cradle) 인증
메소드는 약 200여 개의 제품에 대해 크래들 투 크래들(Cradle to Cradle, C2C)인증을 획득했다. 이 인증은 제품이 환경과 인간에게 안전하며, 생분해 가능하고 재활용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되었다는 것을 보증하는 역할을 한다. 메소드는 C2C 원칙에 따라 100%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한 포장재를 도입했으며, 이로 인해 70% 이상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 구체적 사례
메소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업사이클링하여 새로운 세제 용기를 제작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해변에 떠다니는 폐플라스틱을 수거하여 만든 ‘Ocean Plastic’ 라인은 친환경적이고 상징적인 제품으로 주목받았다. 이 라인은 환경 오염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려는 메소드의 의지를 보여준다.
○ 성분의 혁신
메소드 제품의 주요 성분은 식물 기반 원료로, 코코넛 오일이나 옥수수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가 세정력을 제공한다. 기존 화학 성분 기반 세제와 달리, 메소드의 세제는 피부에 자극이 적고, 물과 함께 자연으로 쉽게 분해된다. 이는 소비자들의 건강과 환경 모두를 보호하는 효과를 낳았다.
□ 혁신적인 생산 공정
○ LEED 플래티넘 인증 공장
2015년, 메소드는 시카고에 ‘사우스 사이드 비누 상자(South Side Soapbox)’라는 이름의 제조 공장을 설립했다. 이 공장은 LEED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이는 건물의 설계, 건축, 운영이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하는 최고 수준의 평가다.
○ 메소드 공장 특징
- 100%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을 활용하여 공장의 모든 에너지를 공급.
- 폐기물 최소화: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98% 이상을 재활용하거나 업사이클링.
- 옥상 온실: 공장의 옥상은 유기농 농산물 재배를 위한 온실로 활용되며, 지역 사회에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
이 공장은 운영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메소드의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환경 보호를 넘어서, 다른 기업들에게 지속 가능 경영의 롤모델이 되고 있다.
□ 경제적 성장과 사회적 책임
메소드는 친환경 제품 개발과 더불어 꾸준한 경제적 성장도 이루어냈다.
○ 매출 성장
메소드는 연간 약 1억 3400만 달러(약 1,5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친환경 세제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환경과 건강을 중시하는 제품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지역 사회와의 연대
메소드는 공장의 운영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일자리 창출과 환경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 대상의 환경 캠페인을 통해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장려하고 있다.
□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
메소드는 미국 시장을 넘어 유럽과 아시아 등 전 세계로 확장하며, 친환경 제품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 국내 사례
한국에서는 주방세제와 세탁세제를 중심으로 한 제품군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소비자 리뷰에서 "효과적이면서도 손이 덜 거칠어진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 글로벌 벤치마킹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메소드를 벤치마킹하며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과 운영 모델을 도입하고 있다.
메소드는 단순한 세제 브랜드를 넘어, 지속 가능성과 혁신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들의 철학과 비전은 단순히 친환경 제품 개발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앞으로도 메소드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를 기대한다.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로 경제, 시황, 재테크, 주식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늘 행복하시고 또 놀러 와 주세요!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버트 하인, 네덜란스 슈퍼마켓의 기발한 혁신 (1) | 2024.12.26 |
---|---|
오아시스, 데이트룩 작업복을 만들다 (3) | 2024.12.25 |
드라마앤컴퍼니, 명함관리앱에서 비즈니스플랫폼으로의 성장 (3) | 2024.07.16 |
쿠팡을 위협하는 테무, 알리바바, 쉬인 3인방 탐방 - 테무 편 (1) | 2023.12.28 |
블루보틀(Blue Bottle)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하기 (2) | 2023.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