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혹시 키치 (Kitsch)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feat. 키치 VS 캠프)

by 미쿡스트릿맨 2023. 12. 18.
728x90
반응형

 

키치(Kitsch) 개념을 제대로 가져가기

안녕하세요. ^_^ 미쿡스트릿맨입니다.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바로, 예술 용어 중에 하나인 키치에 대해서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키치의 기원과 의미 알아보기

키치(Kitsch)는 미학에서 보기에 기이하고, 저속한 것을 뜻하는 미적 가치를 의미하는데요. 이는 대중적이거나 저속한 기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저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키치라는 개념은 정확한 기원이 불분명하나, 대체로 1870년대 뮌헨의 예술시장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의견이 일치합니다. 이 단어는 값싸고 시장성이 높은 그림들이나 조각상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1860년대 독일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방언이었던 Kitchen (마구 칠하다, 긁어모으다)라는 동사가 형용사화된 것으로, 이후 부르주아 층에서의 대중문화의 성립에 발맞춰 "하찮고 저렴하며 저급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A Friend in Need  (1903) by  Cassius Marcellus Coolidge, a common example of modern kitsch art; Cassius Marcellus Coolidge,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하지만 현대 문화에서 키치는 패션과 영화, 광고 등에 걸쳐 하나의 주요한 속성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하고 반복적인 패턴으로 이루어진 걸그룹의 펑키한 옷차림이나 다소 당황스럽고 주제를 알 수 없는 데이비드 라샤펠의 사진작품 등을 보고 사람들은 '키치하다'라고 말합니다.

 

키치의 개념은 19세기말 등장하여 처음에는 저급한 예술작품이나 솜씨가 좋지 않은 모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그 의미영역이 대폭 확대되어 대중예술의 특성을 지칭하기도 하고, 패션이나 디자인, 광고 등의 영역에서는 제품 구상이나 판매 전략의 특징을 지칭하는 데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키치는 그 자체로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단순히 저급한 예술이나 대중문화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문화적 맥락에서 다양한 형태와 의미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다양성과 복잡성은 키치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됩니다.

 

□ 예술사에 있어서의 키치

키치는 일종의 문화적 특권 의식에서 비롯된 대중의 동경에서 나타났고 급속히 대중을 거치면서 변질된 복제 예술들을 파생시켰고 인류문화사 전체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인 대중의 생활, 정서 속에 어떤 형태로든 키치미술의 형식이 융화되면서 생활미술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키치의 이러한 시도들을 통해서 예술품과 상품, 진정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경계는 점차적으로 소멸하면서 변화되고 있지만 기존의 고급예술이 가진 고상함과 유일성에 대한 권위의식은 이러한 변화의 시각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지 않습니다.

 

 

□ 키치 예술의 사례

키치 예술의 사례로는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들이 대표적입니다. 제프 쿤스는 대중에게 어필되는 대량생산물, 대중매체 이미지들을 키치적으로 차용하여 미국 소비사회의 문제점을 솔직하게 작품화하고 있습니다. 그의 키치는 고급정통미술과 대중미술의 경계를 부정하고 미술품을 상업주의의 작품으로 제시하고 나아가 예술 속에서 누구보다 극한까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프 쿤스 작품

 

□  키치에 대한 평가

키치에 대한 평가는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키치는 진부하고, 어디서 본 듯한 것을 모방하고 복제하고 장식하고 과시하는, 통속적인 대중문화의 속성과 거의 일치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미적 가치를 창조하는 것을 예술의 근간으로 보는 엘리트 비평가들은 키치는 문화의 저급화를 이끄는 장본인이요, 예술의 옷을 입은 상품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합니다.  키치는 그 안에 함축되어 있는 고급예술과의 대립현상 때문에 부정적인 면이 강조되어 인식되어 왔으며 예술은 긍정적 가치를 담고 키치는 부정적 가치를 담은 미적 산물이라는 사회적 통념 아래 성장해 왔습니다.

 

이렇게 보면, 키치는 그 자체로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단순히 저급한 예술이나 대중문화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문화적 맥락에서 다양한 형태와 의미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다양성과 복잡성은 키치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됩니다.

 

○ 앤디워홀의 작품은 키치하다고 표현할 수 있나?

앤디 워홀은 팝 아트의 대표작가로, 그의 작품은 대중문화와 상업적 요소를 강조하며, 일상의 상업적 소재를 사용하여 작품 활동을 했습니다. 그는 캠벨 수프 깡통, 코카콜라 병, 달러 기호 등을 그렸고, 이러한 주제들은 미국 문화의 가치를 의미했습니다. 또한 그는 유명인물들의 초상을 작품에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워홀의 작품은 자본주의 사회의 대량생산 기법을 사용하였지만 유일성과 원본성을 부정하며, 반복 속에서도 그 차이를 인정하는 작품을 생산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키치의 특성과 일치하는 면이 있습니다. 키치는 대중적이거나 저속한 기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저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워홀의 작품이 키치라고 꼭 말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작품은 단순히 대중문화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미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과 비판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앤디 워홀의 작품을 키치라고 일괄적으로 규정하기보다는 그의 작품 각각이 지닌 독특한 특성과 의미를 고려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키치와 캠프의 차이

키치(Kitsch)와 캠프(Camp)는 둘 다 예술과 문화에 대한 특정한 관점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그들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키치(Kitsch)는 주로 저렴하고 가치가 떨어지는 싸구려 상품을 의미하며, 저급한 예술작품이나 기품 없어 보이는 행위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키치는 대중적인 취향을 대표하며, 때로는 천박하고 저속한 상품이나 작품, 물건, 행위, 활동, 취미 등을 모두 아울러 키치라고 합니다. 그러나 키치는 단순히 '저급한'이라는 의미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키치하다는 의미는 주변의 트렌드를 따라가지 않고, 본인만의 가치를 내세우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캠프(Camp)는 일반적으로 과장되거나 극단적인 스타일이나 행동을 즐기는 세련된 미적 감각을 나타냅니다. 캠프는 키치와 관련이 있어 종종 혼동되기도 하며, 캠프적 매력이 있는 물건을 "저급하다"고 묘사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캠프는 단순히 '과장'이나 '인위'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닙니다.

 

키치와 캠프의 주요 차이점은 그들이 대중문화와 예술에 대한 접근 방식에 있습니다. 키치는 대중문화의 일부로서 저급한 예술을 대표하는 반면, 캠프는 대중문화를 통해 고급 예술을 탐색하고 재해석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로  주식, 외국어, 운동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재테크를 잘하면 부를 갖게 되고, 운동을 잘하면 멋진 몸매를 갖게 되고, 외국어를 잘하면 지혜를 얻게 되기에,  이 삼박자를 갖춘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언제 실현될지는 모르겠지만요. ㅎㅎ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행복하시고 또 놀러 와 주세요! 

 

반응형

댓글